본문 바로가기

라돈2

라돈의 실내유입 땅속에서 생성된 라돈은 암석 틈새나 토양의 기공(pore) 속에 존재하다가, 토양 가스(soil gas)의 확산(diffusion)이나 또는 압력 경사(pressure slope)에 의하여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까닭에 생활환경 어디에나 존재(ubiquitous)하며, 그 방출량은 암석 및 토양 중에 포함된 우라늄(Uranium)의 양에 따라 지역적으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 이런 라돈이 실내로 들어오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4가지, 즉 1) 라듐을 함유한 암반이나 토양에 닿는 지하수(underground water) 또는 우물물을 건물 실내에서 샤워, 세탁, 조리용 등으로 사용할 경우 물속에 녹아 있던 라돈이 풀려나오는(release) 경우, 2) 라돈을 함유하고 있는 콘크리트, 블록, 벽돌, 타일.. 2022. 8. 12.
라돈에 의한 폐암발생 1898년 Curie부부는 라듐 화합물 주변의 공기가 방사능을 띤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것은 라듐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기체(radioactive gas) 때문이라는 사실이 1900년 F. E. Dom이라는 과학자에 의해 밝혀졌다. 그 후 이 방사성 기체는 불활성 기체 inet gas)의 하나임이 확인되었고, 명칭을 Emanation(원소기호 Em)이라 하였다. 비활성 기체의 발견자인 W. Ramsay는 이 방사성 기체의 스펙트럼을 조사하고 R.W. Gray와 함께 비중을 측정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기체 중에서 가장 무겁다는 것을 밝혀냈으며, 또한 이 기체가 유리관 속에서 액화되면, 인광(光)을 발하는 사실에서 빛난다'는 뜻의 라틴어 'nitere'를 따서 niton이라 부를 것을 제창하였다. 그러나 .. 2022. 8.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