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1 오염물질의 성상 - 이산화탄소 사람이 숨을 쉴 때는 내보내는 이산화탄소는 실내공기질과 환기상태를 점검하는 기준 척도가 되는 기체상 물질로, 실내공간에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하면 호흡에 필요한 산소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되므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일산화탄소(CO)와 함께 중요한 실내공기 오염물질 중의 하나로 분류되고 있다. 실내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사람의 호흡에 의해 주로 배출되지만, 부엌에서 요리 시 이용하는 연료를 연소시킬 때도 발생하는 배기물로서, 미국에서는 실내공기의 환기 조건을 CO2 기준으로 2,000ppm을 권장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와 일본은 그 절반인 1,000ppm으로 강화된 기준을 권장하고 있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적 발생원인 미생물의 분해작용과 인위적 발생원인 화석연료.. 2022. 8.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