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0

오염물질의 성상 - 질소산화물 질소산화물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안정적이고 대표적인 일산화질소(NO)와 이산화질소(NO2)와 그리고 기타 질소산화물로 분류되는 아산화질소(N2O), 삼산 화이 질소(N2O), 사산 화이 질소(N2O), 오산 화이 질소(N2O) 4가지와 불안정한 산화물인 삼산화질소(NO) 등 7가지가 대표적인 물질이다. 이 중 대기오염에서 문제가 될 만큼 존재하는 산화물은 일산화질소와 이산화질소로 통상 이들 물질을 대기오염 측면에서 질소산화물 즉, NOx라고 한다. 따라서 대기오염이나 실내공기오염에서 NOx라고 할 때는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한 NO와 NO2를 일컫는다. 일산화질소(NO)는 물과 황산에 약간 용해되는 자극성 냄새의 무색 기체로서, 대기 중에 높은 농도로 배출될 경우 갈색을 띠고 녹는점이 -.. 2022. 8. 11.
오염물질의 성상 - 일산화탄소 일산화탄소는 일반적으로 탄소화합물이나 탄소(C)와 같이 불에 잘 타는 가연성 성분의 불완전연소에 의하거나, 이산화탄소(CO)가 온도가 높은 상태의 탄소와 접촉할 경우에 생긴다. 물질의 연소 시 산소가 부족하거나 연소온도가 낮은 상태여서 완전연소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불완전하게 연소되면 발생하는 생성물이기도 하다. 일산화탄소의 발생원은 크게 인위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인위적 발생원은 자동차 배기, 제철소나 난방시설과 같은 산업시설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산업시설이나 소각장과 같은 고정 발생원의 연소 관리가 법적인 규제나 기술의 발달로 잘 정비된 경우에는, 자동차와 같은 이동 발생원에서 배출되는 일산화탄소가 도시 대기오염의 주원인으로 꼽힌다. 폐기물 소각 가스, 자연적 발생원으로는 화산 폭.. 2022. 8. 10.
오염물질의 성상 - 이산화탄소 사람이 숨을 쉴 때는 내보내는 이산화탄소는 실내공기질과 환기상태를 점검하는 기준 척도가 되는 기체상 물질로, 실내공간에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하면 호흡에 필요한 산소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되므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일산화탄소(CO)와 함께 중요한 실내공기 오염물질 중의 하나로 분류되고 있다. 실내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사람의 호흡에 의해 주로 배출되지만, 부엌에서 요리 시 이용하는 연료를 연소시킬 때도 발생하는 배기물로서, 미국에서는 실내공기의 환기 조건을 CO2 기준으로 2,000ppm을 권장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와 일본은 그 절반인 1,000ppm으로 강화된 기준을 권장하고 있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적 발생원인 미생물의 분해작용과 인위적 발생원인 화석연료.. 2022. 8. 9.
미생물성 오염물질의 종류 실내공기 오염물질 중 일상생활에서 쉽게 간과할 수 없는 것이 미생물성 오염물질로, 미생물성 오염물질의 발생은 사람들의 실내 활동과 일반가정에서 사용하는 각종 스프레이, 공기청정기, 가습기, 냉장고, 요리, 애완동물 기인하며, 가등에서 구 위나 뒤편에 쌓여 있는 실내 먼지도 미생물성 오염물질의 중요한 하나의 발생원이다. 실내공기 중에 떠다니고 있는 부유세균과 같은 미생물은 먼지나 수증기 등에 부착하여 생존하고 있으며, 주로 호흡기관에 균주화되어 영향을 미치고, 세균수는 먼지의 농도에 비례하여 먼지가 많으면 부유세균이 많고, 먼지가 적으면 부유세균이 적다는 사실로 미루어보아, 공기청정도와 부유세균수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부유세균은 전염병과 알레르기 질환을, 미세먼지는 인체에 들어.. 2022.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