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

실외공기의 실내유입 실외공기의 실내유입 대도시에서는 자동차나 산업시설의 배기가스로 오염된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공기 오염을 가중시키게 되므로, 실내공기는 실외공기와 아주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배출구 주변의 상태 불량으로 실외로 배출한 난방가스의 실내 재유입이나 공사장의 비산먼지 등도 실내공기오염의 원인이 되며, 뒤에서 자세하게 다룰 황사에 의해서도 실내공기 중의 먼지 양이 증가하게 되어, 호흡기 질환이나 눈병 등을 유발하는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대기는 엄청나게 큰 우주공간에 퍼져 있어, 오염이 되더라도 자정작용에 의해 정화되므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기의 오염농도는 대개 실내공기의 오염농도보다 낮은 것이 정설이다. 실내공기의 오염농도는 보통 실외공기 오염농도의 약 4배가 된다고 한다. 이와.. 2022. 8. 8.
실내공기질, 실내공기 오염물질 발생원 실내공기질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건물의 실내환경이란 도로, 공원, 공장 등과 같은 거주환경의 외부요인과 건축 시스템, 시공기술, 오염물질 발생원 등과 같은 생활환경의 내부 요인과 동일한 건축물의 실내라 하더라도 실내 거주자의 생활형태가 달라서 생기는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결과로 실내공기질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여기서 말하는 건축 시스템이란 건축구조, 설계 및 시공은 물론 냉난방 및 환기설비와 같은 설비를 통틀어 말하는 것이고, 오염물질 발생원이란 건축자재 등의 실습도 등의 실내 요인과 조리, 흡연, 취미활동 내 활동에 의한 실내 발생원은 물론, 대기오염, 악취, 소음, 진동과 같은 실외 발생원까지 포함하여 일컫는 말이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간추려보면, .. 2022. 8. 8.
실내공기 오염문제 실내공기 오염물질 발생원 하나하나에서는 건강에 중대한 위험을 미칠 정도로 많은 양의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건축물 전체적으로 보면 이런 발생원이 한 곳이 아니고, 실내의 여러 곳에 산재해 있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더군다나 이런 오염물질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고, 축적된 상태로 실내에 존재하게 되면 문제의 심각성은 마련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다행인 것은 건축물 실내에 있는 오염발생원에 의한 위험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지만 만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 경감시키거나, 새로운 발생원이 더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 새집증후군, 심지어 새 차 증후군이 문제시되어 정부에서도 관련 법규를 제정하고, 친환경 건축자재의 사용을 유도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 책에서는 .. 2022.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