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내공기오염

실내공기 오염문제

by 생활꿀팁연구소 2022. 8. 7.
반응형

 실내공기 오염물질 발생원 하나하나에서는 건강에 중대한 위험을 미칠 정도로 많은 양의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건축물 전체적으로 보면 이런 발생원이 한 곳이 아니고, 실내의 여러 곳에 산재해 있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더군다나 이런 오염물질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고, 축적된 상태로 실내에 존재하게 되면 문제의 심각성은 마련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다행인 것은 건축물 실내에 있는 오염발생원에 의한 위험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지만 만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 경감시키거나, 새로운 발생원이 더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 새집증후군, 심지어 새 차 증후군이 문제시되어 정부에서도 관련 법규를 제정하고, 친환경 건축자재의 사용을 유도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 책에서는 이와 같은 오염물질의 발생원과 오염물질에는 어떤 것이 있고, 발생된 오염물질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이와 같은 실내공기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방법과 처리할 수 없으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경감시키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를 알아보기로 한다.
 실내공기를 오염시킨다는 측면에서 보면, 요즈음은 주거용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주거공간인 아파트와 고층화 대규모화되어 가고 있는 업무공간인 사무실의 건축 공간 사이에는 차이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겠다. 독립주택의 경우는 주택의 시공 정도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아파트의 경우는 에너지 절약이라는 경제적 이점의 추구와 건축기술의 발달로 기밀 시공 처리되어 환기장치를 하거나 일부러 창문을 열어 외부 공기를 실내로 끌어들이지 않는 한, 대기의 입누출에 의한 실외의 신선한 대기를 실내이나로 끌어들이는 자연환기가 거의 없어 새집증후군과 같은 실내공기오염 문제를 가중시키고 있다.
 그리고 최신 고급 빌라트의 아파트, 오피스텔 특히 주상복합 경우는 현대화된 사무실과 같은 수준의 기계식 냉난방시설(수환기 시설)과 이 갖추어진 주거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건축의 실내환경적인 측면에서는 사무실 건물과 거의 유사한 원인에 의해서 실내공기질이 나빠지고 있어 해결책도 같은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고 본다.
 실내공기 속에 사람에게 이롭지 못한 기체, 미립자, 병원성 미생물과 같은 오염물질이 배출되어, 그 실내공간에 거주하고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건강상의 문제를 일으키거나, 가구와 생활용구를 손상시키는 것을 실내공기오염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특별한 오염발생원이 가까이에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경우 대기는 실내공기보다 오염농도가 낮다. 그래서 환기가 적절하게 이루지지 않으면 실외 공기를 실내로 충분하게 끌어들이지 못하게 되어 실내공기의 오염물질을 실외로 내보내지도 못할 뿐만 아니라, 실내공기 오염농도를 희석 못하게 된다.
 물이 흐르지 않고 한 곳에 오래 고여 있으면 썩게 마련인 것처럼, 공기도 바뀌지 않고 실내에 오래 머물러 묵은 공기가 되면 오염물질이 자연히 발생하게 마련이다. 또한 실내온도와 습도가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부적합하면, 실내공기오염농도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건축물의 실내환경은 건축물의 입지적 조건, 설비시스템, 거주자의 생활형태와 시공 정도, 오염물질 발생원등 과의 상관관계에 따라 달라지게 마련이다.
 입지적인 조건은 건물이 산속이나 강가에 있는 별장이냐, 아니면 공장매연이 많은 공업지대에 가까이에 있느냐, 또는 자동차 배기가스가 넘치는 도심지의 도로변에 있느냐에 따라, 실외 공기의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것은 구체적인 설명이 없어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실내 기후는 실외 기상과 더불어 더우나 추우냐, 바람이 부느냐, 비가 오느냐, 또는 습도가 높으냐 낮으냐에 따라서 실내공기 오염농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
 설비시스템 중에서도 냉난방 시스템과 환기시스템은 실내공기 오염농도에 미치는 영향이 아주 큰 설비시스템으로, 이 시스템에 의해 쾌적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실내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오염농도가 낮은 신선한 실외 공기를 유입시켜 실내공기질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실내공간에서 아주 중요한 시스템이다. 요즈음은 사무실뿐만 아니라 주택에도 공기청정기를 별도로 설치하거나, 공기정화기능을 갖춘 냉방시스템을 많이 설치하고 있어 실내공기의 정화 수준이 많이 높아지고 있다.
 실내공기 오염물질은 이 이외에도 건축자재 특히 실내로 노출되는 마감자재 나가고 등에서도 배출되며, 건물의 형태가 묵은 공기가 많이 고여 있게 설계되어 있거나, 오염물질의 이동통로가 막혀 있는 경우도 오염농도를 높이는 원인이 된다. 우리나라 전통한옥은 비교적 오염물질 발생량이 적은 천연 건축자재를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환기도 자연적으로 이루어지게 설계되어 있어, 실내공기 오염 문제에 관한 한 상당히 우수한 건축이다. 그러나 요즈음은 건설기술의 발달로 소음방지 기밀 시공에너지 절약 공법으로 시공되어 현대건축으로서의 장점이 많은 반면, 실내공기오염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여러 가지 형태로 단점도 적지 않다.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생활형태에 따라서도 실내공기의 오염 정도는 달라진다. 분잡한 어린이가 많은 실내에서는 분진이 많을 수 있고, 양탄자를 사용하는 실내에서는 곰팡이나 박테리아가 많이 번식할 수 있으며, 흡연자가 있는 집이거나 요리 방식에 튀김이나 증기를 많이 발생시키는 주부가 있는 실내에서는 실내공기에 이물질이 많이 섞여 오염농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실내 작업장에서 접착제를 사용하는 모형 제작이나 납땜과 같은 작업을 많이 필요로 하는 취미가 있는 사람이 거주하는 실내에서는 실내공기 중에 화학물질이나 중금속이 섞여 있을 수도 있다.

반응형

'실내공기오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염물질의 성상 - 미세먼지  (0) 2022.08.08
새집증후군  (0) 2022.08.08
실내공기오염 해결방법  (0) 2022.08.08
실외공기의 실내유입  (0) 2022.08.08
실내공기질, 실내공기 오염물질 발생원  (0) 2022.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