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공기오염19 라돈의 실내유입 땅속에서 생성된 라돈은 암석 틈새나 토양의 기공(pore) 속에 존재하다가, 토양 가스(soil gas)의 확산(diffusion)이나 또는 압력 경사(pressure slope)에 의하여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까닭에 생활환경 어디에나 존재(ubiquitous)하며, 그 방출량은 암석 및 토양 중에 포함된 우라늄(Uranium)의 양에 따라 지역적으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 이런 라돈이 실내로 들어오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4가지, 즉 1) 라듐을 함유한 암반이나 토양에 닿는 지하수(underground water) 또는 우물물을 건물 실내에서 샤워, 세탁, 조리용 등으로 사용할 경우 물속에 녹아 있던 라돈이 풀려나오는(release) 경우, 2) 라돈을 함유하고 있는 콘크리트, 블록, 벽돌, 타일.. 2022. 8. 12. 라돈에 의한 폐암발생 1898년 Curie부부는 라듐 화합물 주변의 공기가 방사능을 띤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것은 라듐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기체(radioactive gas) 때문이라는 사실이 1900년 F. E. Dom이라는 과학자에 의해 밝혀졌다. 그 후 이 방사성 기체는 불활성 기체 inet gas)의 하나임이 확인되었고, 명칭을 Emanation(원소기호 Em)이라 하였다. 비활성 기체의 발견자인 W. Ramsay는 이 방사성 기체의 스펙트럼을 조사하고 R.W. Gray와 함께 비중을 측정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기체 중에서 가장 무겁다는 것을 밝혀냈으며, 또한 이 기체가 유리관 속에서 액화되면, 인광(光)을 발하는 사실에서 빛난다'는 뜻의 라틴어 'nitere'를 따서 niton이라 부를 것을 제창하였다. 그러나 .. 2022. 8. 12. 포름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는 가장 간단한 구조를 가진 알데히드로, 메틸 알데히드(Methylaldehyde) 또는 메탄 알(Methanal) 이라고도 하는데, 분자식은 HCHO이다. 포름알데히드도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하나임에 틀림이 없으나 발생빈도가 높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새집증후군에서 가장 중요한 물질 중의 하나인 데다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에서 VOC와 따로 떼어 별도로 취급하므로, 이 책에서도 VOC와 따로 다루고 있다. 상온에서는 자극적인 냄새가 강한 기체이며, 화학 식량은 30.03이고, 녹는점은| -118.3~-117.8℃이며 끓는점은 -19.3℃이다. 환원성이 강하여 펠링 용액(Fehling'ssolution)으로 환원시키게 되면 쉽게 검출되고.. 2022. 8. 12. 오존의 환경영향 오존의 환경영향 오존과 산소는 다 같이 산소 원자로 이루어진 물질이지만 매우 다른 성질을 갖고 있다. 상온에서 오존은 옅은 푸른색 가스이고 톡 쏘는 냄새가 나고, 산소보다 1.5배 정도 무겁기 때문에 잘 가라앉는다. 복사기를 막 돌렸을 때 종이에서 나는 냄새가 바로 오존 냄새이다. 오존은 앞서 말했듯이 대기권 중에서 성층권에 많이 밀집되어 있는데, 성층 권의오 존은 자외선을 막아 피부를 보호하는 아주 고마운 역할을 한다. 스프레이나 에어컨 냉매 주원료로 쓰이는 프레온가스가 성층권에 도달했을 때 오존을 파괴하면, 태양으로부터 자외선이 사정없이 지상으로 쏟아지게 되어 사람과 같은 고등동물 경우 피부암의 유발하고, 단세포 동물의 경우 더욱 취약하여 바로 죽고 말게 된다. 성층권의 오존과는 달리 지상의 오존은 .. 2022. 8. 11.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