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내공기오염19

미생물성 오염물질의 종류 실내공기 오염물질 중 일상생활에서 쉽게 간과할 수 없는 것이 미생물성 오염물질로, 미생물성 오염물질의 발생은 사람들의 실내 활동과 일반가정에서 사용하는 각종 스프레이, 공기청정기, 가습기, 냉장고, 요리, 애완동물 기인하며, 가등에서 구 위나 뒤편에 쌓여 있는 실내 먼지도 미생물성 오염물질의 중요한 하나의 발생원이다. 실내공기 중에 떠다니고 있는 부유세균과 같은 미생물은 먼지나 수증기 등에 부착하여 생존하고 있으며, 주로 호흡기관에 균주화되어 영향을 미치고, 세균수는 먼지의 농도에 비례하여 먼지가 많으면 부유세균이 많고, 먼지가 적으면 부유세균이 적다는 사실로 미루어보아, 공기청정도와 부유세균수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부유세균은 전염병과 알레르기 질환을, 미세먼지는 인체에 들어.. 2022. 8. 9.
오염물질의 성상 - 미세먼지 미세먼지는 입자 형태로 된 오염물질이고, 이 입자에는 단순한 흙 성분만 있는 것이 아니며, 여러 가지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구가 처음 생겼을 때는 오염발생원이 그리 많지 않았으며 화산 폭발이나 산불과 같은 자연재해가 가장 중요한 오염물질 발생원이었으나, 그때는 이런 오염물질을 분산시키거나 희석시키기에 충분한 바람과 비가 있었다. 그러나 인간이 인위적 오염물질을 발생시키고 급격하게 증가시킨 반면, 자연의 공기정화능력은 둔화시킨 결과가 초래되어 오염을 가중하게 되었다. 영국에서는 한 때 런던 시내의 대기오염이 심각하여 석탄의 사용을 강력하게 억제하였으며, 위반 시 사형에 처한 적도 있었다. 이보다 앞서 우리나라에서도 신라때 매연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나무를 연료로 사용하.. 2022. 8. 8.
새집증후군 현대인은 80% 이상의 시간을 주택이든, 사무실이든, 상점이든, 음식점이든 간에 건축물의 실내에서 지내고 있다. 따라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은 의식을 하든 못하든 간에 실내생활을 하는 사람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그 범위가 넓고 심각하다. 수많은 아파트, 고층건물, 학교, 지하공간 등에서 주기적인 청소나 적절한 환기가이루어지지 않은 채 건물의 에너지 절약이나 미관을 고려한 기밀 시공으로 시스템창호나 이중창을 적용하게 되어, 밀폐 실 된 내공 간에서 생활하면서 사람들은 간혹 가슴이 답답하거나 피로하거나 어지럽거나 짜증스러운 기분을 느끼면서도 실외로 나오면 괜찮아지니까 보통 그냥 지나쳐버리는 .. 2022. 8. 8.
실내공기오염 해결방법 지금까지는 실내공기가 오염되면 인체에 해롭고, 어떤 점들이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인지만 제시했는데, 이제부터는 실내공기 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방법에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자. 실내공기 오염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적인 방법을 크게 나누어 보면, 1)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못하도록 발생원을 근본적으로 제어하여 발생 자체를 억제하는 방법이 제일 먼저 거론된다. 2) 그러나 현재의 건축기술로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이 전연 발생하지 못하도록 완전하게 제어하는 방법은 있을 수 없으므로, 발생한 오염물질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그 첫째 대안으로 앞에서도 여러 번 강조했듯이 충분히 환기시켜 상대적으로 신선한(오염농도가 낮은) 실외 공기를 실내공기와 교환하여 농도를 희석시키는 방법을 들 수 .. 2022. 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