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공기오염19 오염물질의 성상 - 오존 지구 상에 존재하는 오존의 90%는 대기를 둘러싸고 있는 지상 15~50km 사이의 성층권에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성층권을 오존층이라고도 한다. 오존은 태양광선 중 파장이 짧은 자외선을 차단하여 피부암, 백내장 등의 질환 발생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동식물의 생명을 보호하는 보호막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이 오존층이 자동차의 에어컨, 냉장고, 스프레이, 반도체의 세척제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프레온가스에 의해 파괴되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의 보고에 의하면, 1970년대부터 80년대 중반까지의 오존층 파괴는 2.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지금과 같은 정도로 프레온가스를 계속 사용하면, 2025년경에는 오존층의 25%가 파괴되어 피부질환이 증가하고, 면역기능이 손상 입게 되고, 생태를 계.. 2022. 8. 11. 오염물질의 성상 - 질소산화물 질소산화물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안정적이고 대표적인 일산화질소(NO)와 이산화질소(NO2)와 그리고 기타 질소산화물로 분류되는 아산화질소(N2O), 삼산 화이 질소(N2O), 사산 화이 질소(N2O), 오산 화이 질소(N2O) 4가지와 불안정한 산화물인 삼산화질소(NO) 등 7가지가 대표적인 물질이다. 이 중 대기오염에서 문제가 될 만큼 존재하는 산화물은 일산화질소와 이산화질소로 통상 이들 물질을 대기오염 측면에서 질소산화물 즉, NOx라고 한다. 따라서 대기오염이나 실내공기오염에서 NOx라고 할 때는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한 NO와 NO2를 일컫는다. 일산화질소(NO)는 물과 황산에 약간 용해되는 자극성 냄새의 무색 기체로서, 대기 중에 높은 농도로 배출될 경우 갈색을 띠고 녹는점이 -.. 2022. 8. 11. 오염물질의 성상 - 일산화탄소 일산화탄소는 일반적으로 탄소화합물이나 탄소(C)와 같이 불에 잘 타는 가연성 성분의 불완전연소에 의하거나, 이산화탄소(CO)가 온도가 높은 상태의 탄소와 접촉할 경우에 생긴다. 물질의 연소 시 산소가 부족하거나 연소온도가 낮은 상태여서 완전연소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불완전하게 연소되면 발생하는 생성물이기도 하다. 일산화탄소의 발생원은 크게 인위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인위적 발생원은 자동차 배기, 제철소나 난방시설과 같은 산업시설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산업시설이나 소각장과 같은 고정 발생원의 연소 관리가 법적인 규제나 기술의 발달로 잘 정비된 경우에는, 자동차와 같은 이동 발생원에서 배출되는 일산화탄소가 도시 대기오염의 주원인으로 꼽힌다. 폐기물 소각 가스, 자연적 발생원으로는 화산 폭.. 2022. 8. 10. 오염물질의 성상 - 이산화탄소 사람이 숨을 쉴 때는 내보내는 이산화탄소는 실내공기질과 환기상태를 점검하는 기준 척도가 되는 기체상 물질로, 실내공간에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하면 호흡에 필요한 산소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되므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일산화탄소(CO)와 함께 중요한 실내공기 오염물질 중의 하나로 분류되고 있다. 실내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사람의 호흡에 의해 주로 배출되지만, 부엌에서 요리 시 이용하는 연료를 연소시킬 때도 발생하는 배기물로서, 미국에서는 실내공기의 환기 조건을 CO2 기준으로 2,000ppm을 권장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와 일본은 그 절반인 1,000ppm으로 강화된 기준을 권장하고 있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발생원은 크게 자연적 발생원인 미생물의 분해작용과 인위적 발생원인 화석연료.. 2022. 8. 9. 이전 1 2 3 4 5 다음